박춘수(朴春秀)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계보 보기

성명(姓名)

 박춘수(朴春秀)

본관(本貫)

  진원(珍原)

시대(時代)

1590(선조 23)∼1641(인조 19)

자(字)

언실(言實)

호(號)

아수당(我誰堂)

이력(履歷)

1590(선조 23)∼1641(인조 19). 조선 중기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. 자는 언실(言實), 호는 아수당(我誰堂).

군자감정(軍資監正) 근효(根孝)의 아들이다. 김수항(金壽恒)의 문인으로 1627년(인조 5) 진사시에 합격하였다. 학행(學行)으로 추천되어 종묘서직장(宗廟署直長)을 거쳐 연원도찰방(連原道察訪)이 되고, 1627년 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장생(金長生)을 양호호소사(兩湖號召使)로, 안방준(安邦俊)을 의병장으로 하고, 자신은 종사관(從事官)이 되어 전주에까지 이르렀다가 곧 화약(和約)이 성립되자 그만두었다.

1636년 병자호란 때 아우 춘장(春長), 아들 진형(震亨) 등과 함께 300여명을 모집하여 보성(寶城)에서 청주에까지 이르렀으나, 강화(講和)의 소식을 듣고 통곡하면서 의병을 해산하고 군량(軍糧)을 모두 완영(完營:全羅監營의 별칭)에 반품하였다.

그뒤로는 죽을 때까지 후진양성에만 힘썼다. 타고난 성품이 순수하고 충효스러우며 할아버지 때부터 창의활동(倡義活動)을 하여 칠현(七賢)이 한 집안에서 나왔다. 좌승지 겸 참찬관에 추증되었다.

참고문헌

仁祖實錄, 湖南丙子倡義錄, 七賢擧義錄. 〈朴定子〉

묘(墓)

 

부(父)

 

모(母)

 

배(配)

 

자(子)

 

녀(女)

 

형제(兄弟)

 

문헌(文獻)

  

기타(其他)